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컴퓨터과학 개념에서 많이 사용되는 수도코드 및 그리스 문자 기호

기타정보

by 김일국 2017. 4. 21. 12:26

본문

수도코드(슈도코드, pseudocode)는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을 따라 쓰인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언어로 코드를 흉내 내어 알고리즘을 써놓은 코드를 말한다.

의사(疑似)코드는 말 그대로 가짜 코드 즉, 흉내만 내는 코드이기 때문에,

실제적인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코드처럼 컴퓨터에서 실행할 수 없으며,

특정 언어로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전에 알고리즘의 모델을 대략적으로 모델링하는 데에 쓰인다.

의사코드는 실제 프로그래밍 언어처럼 엄밀한 문법을 따를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다양한 변종이 존재한다.

그러나 보통 사용자가 많은 C나 리스프, 포트란 프로그래밍 언어등의 문법을 본딴 모양이 많다.

컴퓨터 과학의 전공 서적에서는 다양한 언어 구사자들이 모두 이해할 수 있도록 특히 의사코드를 많이 사용하여 설명한다.

예 수도코드 작성예)

- 아래 코드는 실제 실행 되지 않고, 문자열 비교를 대략 설명하는데 사용된다.

기능
두 문자열을 비교
기본형
         int strcmp(const char *s1, const char *s2);
         s1 : 문자열
         s2 : 문자열
반환값 
         s1>s2 : 양수 , s1==s2 : 0 , s1<s2 : 음수
헤더 
string.h

================ + ===============

위 문자열 비교 함수를 이용해서 아래 수도코드로 폴링(polling)상태 해설

repeat

while State(프린터) != 가용 do skip;

한 줄 인쇄;

until 10 이하 짝수줄(가용일때) 인쇄 완료;


위 수도코드를 실행가능한 C 코드로 변환)

- 아래는 "가용" 프린터상태에 따라 출력하는 프로그램 구현.
#include <stdio.h>
#include <string.h>

void StatePrinter(char s1[])// 반환값 없음, char 포인터 매개변수 *s1 또는 배열변수 s1[] 한 개 지정
{
    int i = 0;
    do
    {
        //printf("%d\n", strcmp(s1,"가용")); 디버그
        i++;
        if(i%2 == 0) { s1 = "가용"; }else{ s1 = "불가용"; } 
        if ( !(strcmp(s1,"가용") == 0) )
        {
            continue;
            printf("가용이 아닙니다.");
        }else{
            printf("출력결과는 StatePrinter- %d번째: %s\n", i,s1);   
            if(i==10) break;
        }
    } while (i<10);
}

int main(void)
{
    StatePrinter("불가용");
    return 1;
}

//출력결과는 StatePrinter- 2번째: 가용

//출력결과는 StatePrinter- 4번째: 가용

//출력결과는 StatePrinter- 6번째: 가용

//출력결과는 StatePrinter- 8번째: 가용

//출력결과는 StatePrinter- 10번째: 가용


수학 스타일 의사코드(수도코드)는 아래와 같이 예를 들어 볼 수 있습니다.( S의 부분원소인 Xk 값을 더하라 )

Return 



=======================================

그리스 문자 기호에 대해서...

대문자 소문자 로 배치했습니다. (예: Α α )

Α α →알파(ALPHA)  그리스문자의 첫 번째 글자이자 많이 차용되는 기호.

Β β →베타(BETA) 수학, 물리 등에서 알파 다음으로 많이 차용되는 기호.
 
Γ γ →감마(GAMMA) 알파, 베타, 감마는 ABC나 가나다처럼 차용되는 기호

Δ δ →델타(DELTA) 미분 적분에서 가까워지는 값=근사치. 극소의 등분을 가리킬 때 쓰임.

Ε ε →입실론(EPSILON)  입실론 소문자 2번째 형태는 "집합원소" 기호로 많이 사용.   

                                              '작다' 혹은 '적다'의 개념.

Ζ ζ →제타(ZETA) 고전역학

Η η →에타(ETA) 물리. 자기장, 전기장 부분

Θ θ →쎄타(THETA) 수학에서 각도를 나타내는 기호로 많이 쓰임.

Ι ι →이오타(IOTA)

Κ κ →카파(KAPPA)

Λ λ →람다(LAMBDA) 현대물리. 파장 나타낼 때.

Μ μ →뮤(MU)  통계학에서 모평균을 나타낼 때.  물리 자기장 부분에서 쓰이는 기호.

Ν ν →뉴(NU)

Ξ ξ →크사이(XI)

Ο ο →오미크론(OMICRON)  알파벳의 'o'와 구분하기 어려워 거의 안 씀. (대문자: 빅오)

Π π →파이(PI)  파이의 소문자는 보통 원의 직경에 대한 비율로 많이 쓴다.  

                            파이의 대문자는 경우의 수 계산할 때 '곱하는 방법'의 계산법으로 사용

(대문자 파이: 빅파이)

Ρ ρ →로우(RHO) 물리에서 저항

Σ σ →시그마(SIGMA)  시그마의 대문자는 주로 "모두 더하기"의 기호

Τ τ →타우(TAU)

Υ υ →웁실론(UPSILON)

Φ φ →화이(PHI)

Χ χ →카이(CHI)

Ψ ψ →프사이(PSI)

Ω ω →오메가(OMEGA)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