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pf (Java Server Page Fragment)파일은 JSP의 일부분(조각)으로 다른 JSP에 포함되도록 만들어진겁니다.
반복 사용되는 것을 JSPF로 뽑아서 JSP 파일에서 Include 합니다.
사용예는 2가지가 있습니다.
<jsp:include page="header.jspf" flush="true">
- 이렇게 하면 header.jspf 파일을 컴파일하고 이 문장이 있는 파일에 불려지게 됩니다.
%@include file="test.jspf"%
- 이렇게 하면 header.jspf 파일이 이 문장이 있는 jsp 파일의 일부로 들어가서 함께 컴파일되게 됩니다.
JSPF는 보통 톰캣 서버의 web.xml파일에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확장자를 선언하고 있다.
<mime-mapping>
<extension>jspf</extension>
<mime-type>text/plain</mime-type>
</mime-mapping>
즉, 예전에 .inc 로 인클루드 파일을 약속한 것처럼 사용자가 공통으로 사용되는 파일을 1곳에 두고 관리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방법론의 1가지 입니다.
참고로, SiteMesh 같은 공통파일 관리 툴을 사용해서 레이아웃 템플릿파일들(header.jsp 와 footer.jsp 등)을 관리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스프링 MVC 구성 (0) | 2015.09.20 |
---|---|
MyBatis 쿼리파일에 if, choos, when, otherwise 사용하기 (0) | 2015.09.14 |
EL 과 JSTL 기본 (0) | 2015.09.12 |
스프링프레임웍 프로젝트를 시작하기전 확인할 사항 5가지 (0) | 2015.08.30 |
JSP웹보안 3대 취약점 (0) | 2015.08.12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