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하지 않는기술/LCD모니터

2025년 새해맞이 PCB수리교육 유투브 수강으로 시작합니다.

김일국 2025. 1. 10. 14:13

최근에는 소프트웨어 교육을 주로 하고 있으나, 오늘 과거를 회상해 보았습니다.
10년전에는 PCB 회로 수리사업도 시작하게 되어서, 국비지원 PCB수리를 가르치는 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았습니다.

참고로, PCB수리 교육에서는 SMPS(스위칭모드파워서플라이) 회로를 보고, 불량품을 식별 후 부품을 납땜으로 교체하는 방법을 배우게 되었습니다.(아래 2개의 영상을 이해하는 수준의 기술을 배우게 됩니다.)

- SMPS 기초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9X5TKJWQ_rQ

- SMPS 응용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uAyEH3glJVU

하지만, 실무 에서는 회로기판 전체 또는 FET, 콘덴서를 교체하는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하면서 점점 흥미를 잃어 가고 있습니다.
마음을 다시잡고, 2025년 새해를 맞이하여 아래 3가지 재생목록 위주로 유투브 강의를 들어 보고 있습니다.
- 부품 불량판별법 : https://www.youtube.com/watch?v=m_7eKwlFFFQ&list=PLucJK41F48jpRYNKtqvfXdeulGgkCEWks
- 메인보드 수리법 : https://www.youtube.com/watch?v=wx-d4YGqgps&list=PLucJK41F48jrLszXs0YkgKrTnhhqOgGbm
- 다양한 실전수리법 : https://www.youtube.com/watch?v=fjBLDhwP7vg&list=PLucJK41F48jpPOZYKeTEGGhbGSL8vlxr_

- 부품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데이터시트 찾아보기 예: 아래에서 스위칭에 사용하는 D90N02L(FET)라는 것을 알 수있다.

  https://www.alldatasheet.com/html-pdf/171603/STMICROELECTRONICS/D90N02L/1944/1/D90N02L.html

- 관련자격증 : 전자기기기능사 -> 2024년 부터 전자 기능사 로 변경되었습니다.^^ (6월 9-12일 이론시험 접수)

  참고, 2024년 3월 전에 출간된 책은 최신 출제 내용과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최신 출제 내용 : https://namu.wiki/w/%EC%A0%84%EC%9E%90%EA%B8%B0%EB%8A%A5%EC%82%AC

  -- 전자 기능사 최신 출제 내용 책 :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6143305

  -- 전자 기능사 최신 실기 공개 문제 : https://www.q-net.or.kr/cst006.do?id=cst00602&gSite=Q&gId=&brdId=Q006&code=1204&artlSeq=5208404

  -- 위 공개 문제 1번 PDF :

전자기능사[공개문제]-1.pdf
1.09MB

 

-- 위 공개 문제1번 풀이 참조(문제의 부품배치도, Top기판회로도, Bottom기판회로도 이 3개의 도면을 합치는 방식) : https://www.youtube.com/watch?v=X631lq9JvCs&list=PLhtSnT80kgqu25NMEptxMmEkDu4oQUB_K&index=4  

-- 추천, 위 문제1번을 실무에서 사용한다면 이렇게 합니다.(위 3개의 도면을 합치지 않고, 참조해서 찾는 방식) : https://www.youtube.com/watch?v=LDSJRb_myhY&list=PLhtSnT80kgqu25NMEptxMmEkDu4oQUB_K&index=3 

-- 학습내용이 2024년 이전과 많이 바뀌었습니다. 학습 목차 예를 들면 아래와 같습니다.(위 최신 출제 내용의 책 목차)

1. 회로설계
가. 1-1.블록 설계
나. 1-2. 회로도 설계
다. 1-3. PCB 설계

2. 하드웨어 부품 선정
가. 2-1. 부품의 특성 분석
나. 2-2. 부품의 검사항목 결정
다. 2-3. 부품 선정

3. 하드웨어 성능 구현
가. 3-1. 기판 제작
나. 3-2. 시제품 조립
다. 3-3. 시제품 성능 검사

4. 하드웨어 완성품 검증
가. 4-1. 완성품 제작
나. 4-2. 안전규격 인증
다. 4-3. 신뢰성 검증

5. 계측장비 활용 유지정비
가. 5-1. 계측장비 관리
나. 5-2. 계측장비 기능 확인
다. 5-3. 계측장비 활용

 

참고1,

## 4색 띠 저항의 색상에 매칭되는 숫자의 의미 ( 3번째 숫자는 10의 지수(승수), 4번째는 오차)
흑갈빨주노녹청자회백(0-9)금은무(5,10,20%오차로 주로 사용)

 흑갈빨주노녹청자회백(위 처럼 색상표를 가지고 확인하면 편리하다. 시험에서는 주로 5색띠 저항이 사용된다.)
## 전자에서 사용하는 각종 기호 및 단위와 오실로스코프 측정 확인.(아래)

전하의 기호는 Q(쿨롱), 단위는 [Q](쿨롱) = 6.24×1018개의 전자나 양성자들의 전하량
전압의 기호는 V(볼트), 단위는 [V](볼트)
고유저항 기호는 ρ(로우, Rho), 단위는 옴·미터[Ω·m]
저항에서 전도율의 기호는 σ(시그마), 단위는 미터당 지멘스[S/m]
전력의 기호는 P(파워), 단위는 [W] = 초당 줄[J/sec]
전력량의 기호는 Wh, 단위는 [Wh](와트시) = J(줄)/sec x 3,600(초=1시간)
콘덴저의 정전용량 기호는 C(캐패시턴스), 단위는 [F](패럿) = Q(쿨롱)/V
콘덴서에서 유전율의 기호는 입실론(ε), 단위는 미터당 패럿[F/m]
* 오실로스코프 전압측정실습 : LIPS(LcdInvertorPowerSupply) 에서 아래 측정.
  1차측 정현파(220V 교류사인파)와 PWM 발진을 확인 하는 FET드레인 부분 펄스파(구형파),
  2차측 구형파(24V, 12V 직류 사각평펄스파)를 확인해 본다.

참고2, 한국산업인력공단 큐넷의 ( https://q-net.or.kr/crf005.do#none ) CBT 기반 시험에서 제공하는 계산기모양(아래)

 - 생생한 전자실기/실습(일진사) :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0671353

 - 전자기능사 실기시험 관련 정보(IC만능기판, NE555타이머IC : https://m.blog.naver.com/totentoten/223136101336

=============================================================================

Ps. 오랜 간 만에 TV겸용 LED모니터UN323H6030F 32인치수리를 하였다.

모델명: UN323H6030 제품 뒷면(아래)

-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y) 파워기판에서 1200uF(마이크로패럿) 10V 콘덴서가 터진 모습(아래 붉은색 사각영역)

-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y) 파워기판에서 1500uF 10V 콘덴서로 교체한 모습(아래 붉은색 사각영역)

  1200uF짜리 용량이 없어서 약간 큰 1500uF으로 교체하였습니다.^^

- 수리 완료 뒤 노트북과 연결한 LED모니터 앞면 모습(아래)